Please enable JavaScript.
Coggle requires JavaScript to display documents.
용문면 금당누리센터 조성사업 - Coggle Diagram
용문면 금당누리센터 조성사업
용문면 인문학전 이야기
인구 연령대 : 고령자와 연령층대를 파악해 동네의 느낌 파악
용문초등학교 : 28명 학생 (2024년11월)
농사일로 바쁜 5-6월,9-10월 농번기 맞춤형 주맖프로그램 큰 호
용문면 인구현황 2023년 2228명 ( 65세 인구 1202명. 전체인구의 53.9%)
용문면 상금곡리의 동네의 특색 이야기 : 금당실전통마을
금당실마을: 물에 떠있는 연꽃을 닮았다하여 지어진 이름
초가6채, 기와 7채 전통한옥민박을 운영할 수 있도록 복원되어있음
양주대감 이유인의 99칸 저택터를 비롯하여, 초간 권문해의 유적인 종택과 초간정, 용문사, 금곡서원,추원재, 사괴당 고택, 반송재 고택들의 문화 유적이 많이 남아있다
용문면은 옜부터 선비와 관료가 많이 배출된 마을/ ' 금당맛질 반서울' 살기좋은 고장으로 우리나라 십승지가운데 한곳
권영익 면장 " 우리마을은 용문사, 초간정, 금당실마을, 송림 등 문화재가 많고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가꾸고 관리해 전통한옥문화가 살아있는 아름다운 고장
제5회 농촌체험 휴양마을 우수사례 경진대회
금당실체험마을 대상
20233
김대기가옥 : 독립운동가 김형식 선생의 1920년 고가옥을 개축, '-'자형의 본채를 중심 우측에는 아래채, 좌측에는 헛간채, 독릭 구성, 협문과 우물, 담장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초
과거를 넘나드는 여행, 금당실 전통마을 느릿마을길을 걸으며 고즈넉한 풍경을 가슴에 담는다.
경치가 빼어나, 지형이 좋기로 유명했던 예천/ 전쟁이나 천재지변에도 안심할 수 있었다.낮지도 높지도 않은
조선태조가 도읍지로 정하려했던 십승지중 하나
오미봉, 금당실 뒤에 있는 산으로 높이 200m매우수려/ 다섯가지 아름다운 풍경을 볼 수있는 봉우리라는 뜻으로 오미
''오미' 새벽에 일어나 용문사에서 들리는 새벽 종소리인 '용사호종';죽림에서 불어오는 맑은 바람으로 ' 죽림청풍' 선동에서 떠오르는 구름을 뜻하는 '선동귀운;' 저녁에는 유전마을서 올라오는 연기, 즉 풍요를 나타내는 ' 유전모연' 밤이오면 아미산에서 올라오는 반달을 뜻하는 '아미반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금당실 서북쪽의 소나무 숲 : 금당실 오미봉 아래에서 부터 용문초등학교 앞까지 약 800m걸쳐 소나무가 900여그루 울창하게 조성 수령은 약 200년, 높이는 13-18 m 자연림/ 수해방지와 방풍을 위해 조성, 마을의 휴식처와 행사 중심
오미봉-병암정 2km, 지금은 많이사라지고 용문초등학교 앞까지 약 800m걸친 소나무 수백그루 울창한 숲을 이룬다.
깨긋한 청정지역, 금당꿀을 비롯한 우수한 농특산물 생산 / 금당한우, 금당실참외, 사과, 양봉, 벼, 콩, 고추, 오미자, 마늘 등 농산물
금당주막, 금당실체험마을 풍부한 문화유산및 휴식공간이 들어있어 미래형 농촌으로 각
용문면사무소 앞 높이 21,둘레7m 느티나무 보름날 동제를 지낸
평면설계
1.현관의 넓이
관리실 위치
진입로 설정 , 보도 구획
기둥간격
대지 건물 축, 이격 거리 기준
농촌지역 주로 고령의 이용자들이 사용하는 마을거점 공간은 000해야한다
마을거점 공간의 효능,마을거점공간을 통해 동네 주민분들 동네의 활기를 불어넣은 사례
고령화 마을에 중요하게 생각되는 부분
AIP : Aging in Communiry
'노인 복지시설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_경로당'기준
'서울시 노인 복지시설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경로당'
1.비상시를 고려한 안전한 환경
고령장애 및 초고령 노인들의 안전을 위해 일상적 환경에 발생 다양한 사고 유형 예측, 대비환경 구축, 화재 등 비상시 대피하여 피난통로, 임시 대피장소등 사인시스템의 계회가, 명확한 동선안내등
시설적 이미지를 최소화한 일상적 환경
인간적 스케일의 친숙함과 지역적 정서를 반영하여 복합적인 성격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일상적환경제공, 소규모 복합시설로 프로그램의 성격에 따라 이용자층의 변화를 반영하고 공간마감재의 선택 및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편안한 공간을 계획
이용자를 고려한 쾌적한 지원환경
이용자들이 쉽고 안전하게 공간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 구축, 일상적 환경에서도 동기유발, 감각기능의 유지와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을 제공/ 자연요소의 도입과 연계, 친숙한 물품의 배치, 다영한 감각을 활용한 정보제공, 누구나 이해하기 쉬운 사인 시스템, 환경요소를 극대화한 쾌적성
지역연계 및 교류확대
다양한 계층과 이용자를 위한 프로그램 제공, 지역주민들이 자연스럽게 이용가능한 열린 공간 및 다양한 지역문화활동이 가능한 장소 역할 고려
가족등이 이용가능한 화장실 설치 기준 및 일반화장실 설치 기준, 육아편의시설
예천군 용문면 상금곡리 604-1번지
대지 1,077 / 325평
넓은지붕? 플랫한지붕? 뒤에 산봉우리와 용문면종합복지관 기와지붕을 받쳐줄 수 있는 디자인
목재 & 유리 따듯하면서도 시각적 개방감을 넓히기
평상의 건축화
건축면적 563 /170평
다목적실105평
커뮤니티36평
설계주안점
배치: 종합복지회관과 외부공간공유, 기존주차장활용, 경계부 충분한 오픈스페이스
평면 : 고령이용자 편의 동선 / 디목적실 융통성있는 넓은공간, 주민화합실 전 연령층 휴식및 북카페
용문면 종합복지관
체력단련실, 정보화 교육실, 다용도 강
컨셉: 건축물 자체가 마을의 평상이 되다
사례 커뮤니티센터 청두
모두에게 적합한 자유와 평등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커뮤니티 센터. 지역사회 장애인들의 기본적인 상황, 일상생활,생활습관 파악, 청각장애와 기분장애, "할일이 없다" "모른다" "예측불가능성" 지역사회활동 기피
오목-블록 오정렬 평면 레이아웃 : 시각적 사각지대가 거의 없고, 활기차고 적당한 안정감과 거리감을 중심적으로 설계/ 내외부의 파사드처리, 나무들이 어우러진 특별한 야외 좌석은 낯선사람들이 서로 소통하기에 편리한 즐거운 분위기 조성
열린자유 : 야외활동공간, 실내활동공간,회색공간(건물과 외부환경 사이의 전환공간, 내외부 통합 버퍼공간) / 야외 공간의 바닥을 높여 일부좌석공간을 구성
공간상단 멤브레인 구조사용, 빛이 부드럽게 들어오고 반사되도록 함
유연한 쇄와 견고한 목재구조는 부드러움과 단단함의 균형을 이룸
매달 다양한 상업 팝업행사와 공익활동을 통해 지역주민들에게 풍요로운 삶의 경험 제공 / 지역사회특성을 반영한 사업모델과 제품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지역주민 향후 창업할 수 있는 든든한 기반 설립
아늑한 골목길과 내부및 외부공간의 관계는 적절한 거리를 조성하여 장애인에 가시성을 높이는 동시에 그들의 존재가 지나치게 부각되지 않으면서 당연하게 여겨지도록함.
디자인전략 1. 특정 기능적 요구를 충족하는 공간을 지원하는 기능적 핵심을 설정 2. 나머지 공간은 다양한 규모, 밀도, 발생하는 다양한 행동에 맞춰 정의되지 않은 다기능 공간 3. 공간간 , 실내와 실외 경계 모호하게, 실내, 준실내, 실외의 회색공간과 실외공간을 조절하여 서로 통합되고활용되는 유용한공간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