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Coggle requires JavaScript to display documents.
사물 인터넷과 사회 변화 10116 윤성빈 - Coggle Diagram
사물 인터넷과 사회 변화 10116 윤성빈
사물 인터넷의 개념
사물과 사물뿐만 아니라 사물과 사람,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여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과학 기술을 의미.
구성요소
센서(입력장치)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가속도 센서, 초음파 센서
-
통신 기술
이더넷,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RFID, 셀룰러 통신
-
-
사물 인터넷의 동작 원리
사물 인터넷에서 센서에 의해 수집된 다양한 데이터는 자치 내에서 곧바로 처리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관리 플랫폼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한 형태로 가공되어 사용자에게 서비스된다.
사례 1
체험형 놀이 시설에서 RFID, NFC 기반의 통신기술과 웨어러블 밴드를 도입하여 입장객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입장객들이 체험 시설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웨어러블 밴드를 통해 놀이 시설을 작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게임 점수와 소요 시간 등 체험 정보가 데이터 관리 플랫폼으로 전송되어 입장객이 실시간으로 체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사례 2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은 차량간 통신뿐만 아니라 데이터 수집, 분석 시설과 같은 인프라와 차량 간 통신도 지원하여 주행 중인 운전자에게 주변의 교통 상황, 위험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교통 시설로부터 정보를 일방적으로 전달받앗던 기존 교통 시스템과 달리 양방향으로 통신함으로써 교통 정보의 정확성과 효율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사물 인터넷 기술로 인한 삶과 사회의 변화
사물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사물과 사람이 연결되는 초연결 사회,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지능화 사회가 되면서 개인의 삶과 사회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사례 1
경상북도 상주시에서는 건강과 안전에 취약한 독거노인 가구에 사물 인터넷 기기를 설치한 후 일정 시간마다 생활 데이터를 분석하여 위급 상황이라고 판단될 경우 자동으로 관리자나 보호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었다.
사례 2
서울시 관악구는 노인 보호 구역이나 어린이 보호 구역, 상습적으로 불법 주정차가 발생하는 지역 일부에 사물 인터넷과 태양광 LED 기술을 접목한 불법 주정차 예방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주정차 금지 구역에 차량을 주차하거나 정차할 경우, 센서로 차량을 감지하고 스피커와 LED 전광판을 이용하여 차량 이동을 유도함으로써 안전하고 쾌적한 도로 환경 구축에 기여하고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