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Coggle requires JavaScript to display documents.
네트워크 환경 구성 1110 김태원 - Coggle Diagram
네트워크 환경 구성 1110 김태원
네트워크
-
네트워크는 전송 방식에 따라 유선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로 나눌 수 있다
유선 네트워크는 컴퓨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들을 유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랜 케이블, 랜 카드, 광섬유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직접 연결하므로 안정성이 높지만, 구축비용과 불편한 이동으로 단점이 있다 (일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유선 네트워크는 이더넷 방식을 따른다)
우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치는상황에 따라 버스형,스타형,그물형 등으로 배치할 수 있다
-
이더넷은 랜 케이블, 랜 카드, 물리적 주소 등을 사용하여 근거리에 위치한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기술이다
-
컴퓨팅 시스템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결합한 시스템으로, 다양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한다
-
-
-
게이트웨이
서로 다른 네트워크가 통신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지점이다. (유무선 공유기 대부분이 게이트웨이 역할을 담당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 간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NAT 기술도 포함한다)
-
-
사설 IP 주소는 특정 네트워크에 속한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할당한 IP 주소로, 해당 네트워크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IPv4 방식의 네트워크에서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했다
-
컴퓨팅 시스템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데이터 등의 자원으로 구성된다.
공유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허가 받지 않은 사용자가 접근하여 자원을 훼손하지 못하도록 접근을 허용할 사용자의 범위를 지정하는것이 좋다. 또한, 공유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개인정보, 민감정보, 등의 포함되지 않도록 주의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