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Coggle requires JavaScript to display documents.
네트워크 환경 구성
1203 - Coggle Diagram
네트워크 환경 구성
1203
네트워크의 개념과 특성
-
유선 네트워크
컴퓨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들을 유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핸 케이블 , 랜카드, 광섬유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장치들을 직접 연결하므로 통신 안정성이 높지만, 구축 비용이 많이 발생하고 자리를 이동하며 사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우리가 대부분 이 방식을 사용한다
무선 네트워크
-
NFC
약 10cm이내의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정보 통신 기술이다. 교통비 결제, 출입자 신원 확인, 물품 식별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짧은 시간에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다
하지만 거리가 짧은 게 단점이다
블루투스
노트북, 무선 마우스, 스마트폰과 무선 이어폰 등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고안된 정보 통신 기술이다.
페어링 과정이 필요하며 한번에 여러 개의 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네트워크 환경 구성과 설정
인터넷에 접속하여 전 세계 사람들과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ip주소, 게이트웨이, DNS 서버 주소 등에 관한 정보가 추가로 요구된다
네트워크 환경 설정
게이트 웨이
서로 다른 네트워크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지점이다.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유무선 공유기 대부분이 게이트웨이 역할을 담당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공인 IP주소와 사설 IP주소 간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NAT기술도 포함하고 있다
IP 주소
IPv4와 IPv6 버전이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고 기존 시스템을 IPv6로 전환하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현재는 IPv4와 IPv6를 병행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앞으로 IPv6로의 전환이 가속화될 예정이다.
DNS 서버
숫자로 구성된 IP주소는 일반적인 사람들이 이해하거나 기억하기 어렵기 떄문에 이를 대신하여 IP주소를 영문, 한글 등의 문자로 간결하게 재구성한 도메인이 도입되었다 IP주소와 도메인 이름 간 변환을 담당하는 것이 DNS서버인데 인터넷 통신사별로 각기 다른 서버가 운영되고 있다
공유 네트워크 구성
컴퓨팅 시스템은 하드웨어, 소프트 웨어, 데이터 등의 자원으로 구성된다. 공유 네트워크를 통해 자원을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면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공유 네트워크를 구성할 떄 허가 받지 않는 사용자가 접근하여 자원을 변형하거나 훼손하지 못하도록 접근을 허용할 사용자의 범위를 지정하는 것이 좋다 또한 공유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개인정보 민감 정보들이 포함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