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Coggle requires JavaScript to display documents.
네트워크 환경 구성
1211 박정우 - Coggle Diagram
네트워크 환경 구성
1211 박정우
네트워크의 전송 방식
유선 네트워크는 컴퓨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들을 유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랜 케이블, 랜 카드, 광섬유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장치들을 직접 연결하므로 통신 안정성이 높지만, 구축 비용이 많이 발생할 수 있고 자리를 이동하며 사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유선 네트워크를 이더넷(Ethernet)방식을 따름.
-
무선 네트워크는 컴퓨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들을 전파 등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사물 인터넷(IoT)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선 네트워크에 비해 자리를 이동하며 사용하기 편하지만, 장애물, 전파 간섭에 의해 연결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관련 정보 기술로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지그비(Zig-Bee) 등이 있다.
- 와이파이(Wifi)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기술로, 주로 가까운 거리의 인터넷 연결을 위해 사용되고 있따, 와이파이를 사용하려면 무선 신호를 유선 신호로 바꾸어 주는 기능이 포함된 공유기 등이 필요하다.
-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는 노트북과 무선 마우스, 스마트폰과 무선 이어폰 등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고안된 정보 통신 기술이다.
데이터 전송 전에 두 기기를 연결하는 페어링 과정이 필요하며 한번에 여러 개의 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최신 버전은 전송 속도, 전력 효율 등 다양한 측면에서 개선된 성능을 보이고 있다.
- NFC
NFC는 약 10cm 이내의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정보 통신 기술이다. 교통비 결제, 출입자 신원 확인, 물품 식별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블루투스와 달리 페어링이 필요 없다. 하지만, 한번에 여러 값을 인식할 수 없으며 거리에 따른 제악이 큰 편이다.
컴퓨팅 시스템에서 네트워크(Netwrok)란 기기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통신망을 의미한다. 이러한 통신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송신자와 수신자에 대한 정보, 전송 방식, 전송 매체 등이 필요하며 표준화된 통신 프로토콜을 따라야 한다.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유무선 공유기와 같은 네트워크 장치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특히, 인터넷에 접속하여 전 세계 사람들과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IP주소, 게이트웨이, DNS 서버 주소 등에 관한 정보가 추가로 요구된다.
- 게이트웨이(Gateway)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가 통신할 수 있도록 한ㄴ 장치로,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지점이다.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유무선 공유기 대부분이 게이트웨이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DNS 서버
숫자로 구성된 IP주소는 일반적인 사람들이 이해하거나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IP주소는 영문, 한글 등의 문자로 간결하게 재구성ㄹ한 도메인이 도입되었다.IP 주소와 도메인 이름 간 변환을 담당하는 것이 DNS 서버(Domain Name System Server)이다.
- IP주소
IP(Internet Protocol)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의 유일한 주소로 각 기기를 구별할 수 있는 주소를 의미한다.
컴퓨팅 시스템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데이터 등의 자원으로 구성된다. 공유 네트워크를 통해 자원을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면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공유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허가 받지 않은 사용자가 접근하여 자원을 변형, 훼손하지 못하도록 접근을 허용할 사용자의 범위를 지정하는 것이 좋다. 또한, 공유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개인 정보, 민감 정보 등이 포함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