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Coggle requires JavaScript to display documents.
중국어문법 - Coggle Diagram
중국어문법
술어 :
주어의 동작이나, 상태,
정의를 표현하는 문장성분
명사인 경우
형용사인 경우
동사인 경우
주술구(이중주어)인 경우
목적어
명사성 단어(的명사구 포함)
이중목적어
동사성 단어나 어구
형용사(구)
부사어
地를 동반하는 부사어 : 형용사(구), 상태사, 수량사구,
동사구, 주술구, 고정어구는 대개 地를 동반함
地를 동반하지 않는 부사어 : 일반적으로 부사 대체사,
수량사구, 시간명사(시간사), 장소명사(처소사), 전치사구,
조동사 등은 地 없이 부사어로 사용함
이동성 부사어 : 부사어는 일반적으로 주어 뒤, 술어 앞에 오지만, 다음 3종류의 부사어는 주어 앞에 올 수 있다.
화제 표시 부사어
시간 표시 부사어
어감 표시 부사어
몇 개의 부사어가 같이 쓰인 경우
※ 부사어의 어순
시간>장소>범위, 상태, 방식>대상
특수문형
把자문
구조 : 주어+{把+명사(구)}+동사+기타성분(보어, 동태조사, 목적어)
의미 : 처리하다, 대상에 영향을 주다
명사구는 일반적으로 화자가 상대방도 알고 있다고 믿는, 지칭된 것임
술어인 동사는 일반적으로 명사구에 어떤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동작성이 강한 타동사이어야 함, 대개 동사 단독으로 술어가 될 수 없고, 동사 뒤에 기타성분이 있어서 처치의 의미를 표시함.
被자문
구조 : 주어+{被+피동작주어}+동사+기타성분(보어, 동태조사, 목적어)
의미 : ~에게 -을 당하다
주어는 이미 알려진 것이어야 함
술어는 처치를 타나내지 않는 동사와는 함께 사용되지 않으며, 단음절 동사를 단독으로 술어로 쓸 수 없고, 보어나 기타 성분이 있어야 함
연동문 :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동사(구) 술어가 의미상 서로 긴밀한 연관을 가지면서 연이어져 있는 문형을 말함
목적관계
앞 동사구의 목적을 나타내기 위해서, 목적을 나타내는 동사구를 바로 뒤에 연이어 씀
의미 : ~해서-하다, ~하기 위해 -하다
수단 관계
앞 동사구는 수단, 방식, 상태를 나타내고, 뒤 동사구는 진행되는 동작을 나타냄
의미 : 어떤 수단/방식/상태로 -한다
특히 상태를 나타낼 경우, 제1동사구의 동사에 着가 붙는다
배경 관계
앞 연동구의 사건이 완료되어, 뒤 연동구의 사전의 배경이 됨, 이 동사구들의 순서는 대개 사건의 발생시간 순임
의미 : (다)~하고 (나서) -하다
有자 연동문
「주어+有+목적어+술어」 구조인 연동문으로 두 술어의 주어는 같으며, 有동사 목적어는 뒤 술어의 의미상의 목적어가 됨
의미 : ~할 [목적어]가 있다
겸어문 : 겸어란 '두 가지 역할을 겸하는 명사(구)'를 말함
주어 // 술어1 [겸어] / 술어부
주어
어구인 경우
병렬형
的명사구
동목구조
주술구
단어인 경우
주어가 없는 경우
관형어 : 주어나 술어 앞에 와서
주어 또는 술어를 ‘수식 또는 제한’하는
문장성분
的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
구별사, 단음절 형용사
※ 구별사 : 新, 旧 등과 같이 술어로 쓰이지 않고,
주로 관형어로 쓰이는 형용사(=비술어 형용사)
제한성 수량사구 : 명사 앞에 '지시, 의문대체사+수사+양사'의 형태로 직접 명사를 수식하는 어구
대체사 : 인칭대체사의 '친족 또는 관련 기관' 등의 관형어가 될 때,
的을 붙이지 않아도 됨
관형어와 중심어의 관계가 고정적
'형용사+명사' 구조가 한 단어처럼 굳어진 경우
관형어가 중심어와 결합하여 명칭, 호칭을 나타낼 때
的을 동반하는 경우
상태사 2음절 형용사(구)
동사구나 주술구
명사 (묘사성 제외)
일부 대체사, 묘사성 수량사구
전치사구, 고정어구
다항 관형어인 경우
보어
보어가 단순한 형태인 경우
<술어+보어> 사이에 다른 성분이 오지 못하는 경우
결과보어1 : 술어 뒤에 위치하여 동작 또는 행위가 완료되었거나 바라던 결과, 목적을 달성했음을 표시(玩,着,住,到,好 등)
결과보어2 : 술어가 결과보어 '在, 到'와 함께 장소표시 명사를 목적어로 동반하여 동작 행위의 결과로 목적어가 표시하는 장소에 존재함을 나타냄
추향보어1 :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의 방향과 추세를 보완해 주는 보어이며, 방향동사는 제1부류와 제2부류 동사로 나뉘고, 성조는 모두 경성임
제1부류 : 来, 去(화자 중심으로 '가까워지고/멀어지고'만 나타냄)
제2부류 : 上, 下, 进, 出, 起, 回, 过, 开
가능보어 : 일반적으로 '술어+결과/추향보어' 사이에 '得이나 不'을 삽입하여, 술어가 나타내는 동작, 행위가 보어가 의마하는 바(결과/추향)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지 여부를 표현하며, 가능보어 뒤의 보어는 모두 제 성조로 발음해야 함
비교수량보어 : 주로 比-비교문의 형용사 뒤에서 비교의 결과를 나타냄
예) 我比他大<两岁>。我比你高<一点儿>,胖<一点儿>。
<술어+보어> 사이에 다른 성분이 올 수 있는 경우
추향보어2 : 목적어가 처소사이거나 혹은 명령문 등 아직 실현되지 않은 동작을 표현할 때는 '동사+목적어+来/去'가 된다. 즉, '술어+보어" 사이에 다른 성분이 올 수 있음.
※ 추향보어의 복합 형식에 목적어가 있을 경우, 대개 보어 사이에 오거나 보어 뒤에 올 수 있음
동량보어 : 동사 뒤에서 동작, 행위가 진행된 횟수를 표시함. 전용동량사와 차용동량사가 있음.
전용동량사 : 次, 遍, 趟, 下, 回
차용동량사 : 口, 眼, 脚, 声
※ 목적어가 인칭대명사이거나 보어가 차용동사일 때는 목적어가 보어 앞에 위치
※ 목적어가 일반사물 명사일 때는 목적어가 보어 뒤에 위치
※ 그 밖의 인명, 지명 및 사람에 대한 칭호가 목적어가 되는 경우 목적어는 보어 앞이나 뒤에 다 올 수 있음
명량사 : 명사의 수를 표시, 주로 관형어가 됨
동량사 : 동작의 횟수를 표시, 부사어나 보어로 분류
我看过(那三本)小说 : 명량사를 관형어로 취해서 명사의 양을 표시
你们学了(多少)(个)汉字了? : 명량사를 관형어로 취하여 명사의 수를 표시
我们学了[八百多个]了。명량사를 목적어로 취하여 동작의 양을 나타냄.
我{一口}喝完了。: 동량사가 부사어로 쓰여져 마시는 동작을 한입으로 표시
我喝了<几口>。:동량사를 보어로 사용하여 동작이 진행된 횟수를 표시
시량보어 : 동사 뒤에서 동작, 행위가 진행된 시간을 표시함
예 : 一年,一天,一分钟,一秒,一个月,一个星期,一个小时,一个钟头 등
你们几天学一课?
我们两天学一课。
你们学了几天?
我们学了两天。
기타 : 전치사구 보어
동사+<于전치사구> : 生,死,用 등 동사 뒤에 위치
동사+<向전치사구> : 走,奔,飞,流,转,通 등 동사 뒤에 위치
동사+<往전치사구> : 开,通,送,寄,运,派,飞,逃 등 동사 뒤에 위치
동사+<自전치사구> :来,引,发 등 동사 뒤에 위치
조금 : 분량(수량)이 적거나 정도가 낮은 것을 가리키기도 하고, 또 시간으로 잠깐임을 의미하기도 하며, 영어의 'please'와 같이 무엇을 청할 때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 쓰는 말이기도 함
보어가 비교적 복잡한 형태인 경우
정도보어 : 정도가 높음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어로 주로 형용사나 심리동사와 함께 쓰임.
예) 很,多,慌,不得了,要死,要命 등
양태보어 : 동작 혹은 상황에 대해서 묘사, 평가 또는 판단을 표현함.
구조조사 '得'로 연결되는 형식 : '뛰는 동작이 대체적으로 어떠한 정도이다 : 그는 빨리 뛴다' 등으로 표현되며, 예문은 '他跑得<很快>' 임
'个'로 연결되는 형식 : 구어에서 주로 쓰이고, 긍정형은 '동사+(了)+个+보어'이고, 부정형은 '동사+个+不+보어'임
아무런 구조조사 없이 술어 뒤에 '死了, 极了'등이 와서 정도가 최고로 높음을 나타내는 문형이 있는데, 술어가 대개 형용사나 심리, 상태 동사인 경우이며, 대개 구어에서 상용됨
존현문 : 화제가 되는 장소에 어떤 실체가 어떻게 존재하고 있거나 출현 또는 사라짐을 설명하거나 묘사하고자 할 때 쓰는 문형임
존재 설명,묘사 : 어느 장소에 어떤 실체가 있다는 상황을 설명하거나 묘사함, 즉 장소나 환경에 대한 설명과 묘사를 위해서 이런 문형이 사용되어 짐
동사는 대개 동태조사 着zhe와 같이 쓰여져, 존재상태를 나타냄
출현, 소실 설명 : 화제가 되는 장소나 시간에 어떤 실체가 나타나거나 사라지는 상황을 설명하려고 할 때 쓰임
출혈 및 소실을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동사 뒤에 추향보어나 결과보어가 올 수 있으며, 동태조사 了나 어기조사 了를 함께 쓰기도 함
是...的문 : 2가지 유형으로 분류
이미 발생한 사건에 대한 상황 설명
화자의 관점, 태도 등이 단호하거나 완곡한 어감을 표시
是...的문 1형
是...的문 1형 사이에는 주로 동사로 이루어진 어구(주술구 포함)가 오며, 이미 발생한 사건에 대한 상황 설명에 초점이 있음
즉,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이 이미 발생한 사실이라는 점은 화자나 청자가 다 알고 있으며, 말하고자 하는 초점은 그 동작과 관련된 시간, 장소, 방식, 조건, 목적, 대상 동작의 주체자 등임
是...的문 2형
是...的문 2형 사이에는 주로 '조동사+동사' 나 '동사+가능보어'가 옮
드물게 형용사, 동사 등이 단독으로 오기도 함, 화자의 관점이나 태도 등을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