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코리아 2024

  • 부제: 분초사회를 다투는 호모프람프트와
    육각형인간, 그리고 요즘남편까지
  • 저자: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
  • 발행년도: 2023년 10월

10대 트렌드

  • 분초사회
  • 호모프롬프트
  • 육각형인간
  • 버라이어티 가격전략
  • 도파밍
  • 요즘남편 없던아빠
  • 스핀오프 프로젝트
  • 디토소비
  • 리퀴드폴리탄
  • 돌봄경제

호모프람프트는
분초를 나눠쓰기 위해
디토소비를 하므로
버라이어티한 가격을 좋아한다.
도파민 돋는 스핀프로젝트를 통해
육각형 인간이 되고 싶어한다.
리퀴드폴리탄에 살면서
서로를 돌보며, 가정과 육아에 적극적인 남편과 아빠가 되어가고 있다.

호모프람프트
AI와 공존하는 인류

현상

ChatGPT,Bard, Claude, ClovaX
미드저니, 달리 등

On-Device AI: 스마트폰(갤럭시,아이폰)

프람프트 엔지니어링: 생성형AI로 부터 최고의 결과를 얻기 위해, 질문과 답변의 티키타카를 잘 설계하는 것

솔루션

AI ->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AI규제는 '붉은깃발법'일뿐
붉은 깃발법은 자동차 시대 초창기 자동차가 사고 위험이 있으니
붉은 깃발을 꽂은 마차 뒤를 따라 달려야 한다는 법으로
오히려 영국의 자동차산업이 뒤쳐지는 원인이 됨

멀티모달: AI가 텍스트뿐 아니라 눈과 귀로 정보를 인식하는 것

모라벡의 역설: 인간에게 쉬운것은 컴퓨터에게 어렵다.

비판적 사고 능력 필요
AI의 할루시네이션(그럴듯한 잘못된 답변) 현상

인문학 소양 + 비즈니스 도메인 전문성

1) 경계를 넘나들며 일하는 능력
2) 통찰하는 능력
3) 올바른 접근법을 선택하는 능력
4) 타인의 감정을 파악하는 능력
5)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능력

전망/시사점

일자리, 저작권, 개인정보 보호 필요성

보편적 기본소득: 구매력 있는 소비자를 유지하겠다는 자본주의적 발상

AI가 그린 용의 그림을 완성시키는 '화룡정점'을 할 수 있는 인간적 능력

분초사회
1분 1초도 소중함

원인

현상

가성비보다 시성비, 직주근접

조각나는 시간단위: 반반차, 짬PT, 일정조율 서비스

자율주행 활용, 오디오북, 스마트폰의 멀티윈도우

결론부터 미리보기: 유투브 요약본, 쇼츠/릴스, 1.5배 재생

실패없는 쇼핑: 카카오 위시리스트(원하는 생일선물 올림), 버티컬커머스(특정상품 전문매장), 초개인화추천

소유경제->경험경제

경험할게 많아짐

팬데믹이 시간활용의 개념을 변화 시킴

솔루션

체류시간 늘리기: Story Telling -> Story Doing: 간단게임, 혜택성 이벤트

오프라인 쇼핑몰 대형화

대기시간 줄이기: 예약서비스(캐치테이블, 테이블링),
테이블 오더 서비스, 은행 지점 방문 예약

지루하지 않은 대기 시간: 창이공항의 인공폭포와 놀이공원

전망/시사점

고객의 틈새 시간에 맞춘 새로운 서비스 또는 가격(버라이어티 가격)

On-Demand: 필요할 때 즉각 제공하는 서비스-잠금상태에서도 사진 촬영

제공 시간을 정확히 알려주기: 버스도착시간, 배달시간, 택시 도착시간 등

디토소비
나와 맞는 사람, 콘텐츠, 유통채널따라 소비

현상

사람 추종

나노 인플루언서: 1만명 이하 팔로우. 예) 스타일링 옆집언니 최실장

전문가: 패션, 건강, IT등. 예) 친철한 의사, 의학채널 비온뒤,
식탁보감, 채널H

직원: 임플루언서. 예) CU의 신상왔씨유, 뷰티브랜드 러쉬,
올리브영의 '훈디의 파우치 습격' 등

셀럽: 패션, 메이크업만 모은 인스타 계정.
예) 블랙핑크 제니, 레드벨벳 조이

일반인: 예) 맛집 지도 공유

콘텐츠 추종

가상 세계를 현실에서 따라함
패션, 여행, 인테리어 등

패션: 미드 '유포리아'의 스타일링 따라하기

'오늘의집'의 영화를 모티브로 한 공간 꾸미기

Set-Jetting: 영화나 드라마의 공간 방문

웹툰. 예) 안다의 만찟메(만화를 찟고 나온 메이크업)

유통채널 추종

버티컬커머스: 특정 상품에 특화된 쇼핑몰. 감성에 소구.
예) 문구편집숍 '포인트오브뷰', 숙소 '스테이폴리오'

커뮤니티 형성 유도.
예) 무신사스냅: 일반인 스타일링+스토리 공유 통해 감성에 소구

원인

선택 복잡성 증가: 1) 선택 과부하, 2) 감성과 가치관까지 맞아야 함,
3) FOBO(더 나은 옵션이 있을까봐 선택 안함) 극복

브랜드 충성도 저하: 다양한 선택지와 품질의 상향 평준화

전망/시사점

기업/브랜드 철학이 공감되어야 함

기업 정체성을 나타내는 시그너처 제품 필요

인플루언서와 고객간의 소통 공간 중요

버라이어티 가격
언제 어디서 누가 어떻게
구매하는지에 따라 다른 가격

현상

구매 시간/채널/고객/옵션별로
지불용의에 따라 다른 가격 정책
(지불용의: 구매가의 임계점)

구매시간:
1) 시간대/요일별 가격 차별화
예) 해피아우어, 호텔 주말요금제
2) 시간 흐름에 따른 가격 차별화: 스키밍 전략
예) 아이폰, 웹툰 24시간마다 무료
3) 실시간 가격변동
예) 항공권

구매채널:
1) 유통채널에 따라 다른 가격 책정
2) D2C(Direct to Customer)
최근 고객데이터 수집을 위해 제조사가
직접 판매하는 전략 확산중

구매고객:
1) 고객 데이터 기반 초개인화 가격 제시
2) 제휴 통한 할인가 제시. 예) 티맵 운전점수 기반 보험료 할인,
신용평가사 KCB의 티맵 운전정보 연동한 신용정보 제공

구매옵션:
구매항목중 필요한것만 선택시킴
예) 비행기티켓, 골프장 '루나엑스': 홀 수, 캐디, 그늘집 등 옵션 제공

원인

전망/시사점

AI발달로 가격 초개인화 가능해짐

가격 컨트롤타워 필요: 예) 롯데마트 '프라이싱팀'

육각형 인간
완벽한 최고의 자아를 선망

도파밍
도파민 돋는 경험과 행동 캐기

현상

랜덤한 재미
예) 랜덤코디 놀이,
랜덤 중고거래, 랜덤 음료 주문,
성수 술집 '무근본'

엉뚱한 재미
예) 사일런트 한강DJ파티, 택배 레이스 경기

무모한 재미
예) 레드불의 초음속 낙하 이벤트,
시내버스로 24시간 안에 서울에서 부산까지,
정광용 선생-수능날 감독관 흉내 8시간 생방송 

긴장감 있는 재미
예) 스마일밤의 결석치료 ASMR,
빰때리기 대회(길티플레져)

원인

재미는 살아있음을 느끼게 하고 삶을 더 풍요롭게 함

팬데믹 이후 심해진 실적주의 압박에 대한 반발
걍생-인생 걍 대충 살자!

전망/시사점

재미를 넘어 사용자가 참여할 수 있는 경험 제공 필요
스토리텔링을 넘어 스토리두잉

도파민과 세로토닌의 조화가 필요:
자극적이지 않은 행동(명상, 산책등)


스핀오프 프로젝트
본질을 유지하며 확장하기

현상

브랜드 스핀오프: MZ겨냥 매스티지 세컨드 브랜드 출시
예) 프라다의 '미우미우', 메종 마르지엘라의 'MM6',
클로에의 '씨 바이 클로에', 닥스의 '닥스10', 삼성물산 '구호플러스',

미디어 스핀오프
MBC의 14F, 소비더머니, 별다리 유니버스, KBS의 KLAB, 중앙일보의 듣똑라, CBS의 씨리얼, SBS의 스브스뉴스

기술 스핀오프
NASA 기술의 실생활 스핀오프 (약 2000개)

조직 스핀오프: 사내벤처
예) 구글-포켓몬고 제작사 나이앤틱,
이베이-페이팔, 크라이슬러-페라리

개인경력 스핀오프: 사이드 프로젝트
예) 네이버-SDS벤처, 트위터-해커톤,
당근마켓-카카오 개발자 사이드 프로젝트

전망/시사점

스핀오프를 위한 리브랜딩 추세
예) 기아자동차->KIA, 마켓컬리->컬리

본질(Unique Value)이 확장되어 시너지 효과가 나게 해야 함

일시적 우위전략(Transient Advantage)
시장을 선점하고 계속 실험과 학습을 통해
일시적 우위를 유지하는 전략

현상

담쌓기:
선천적 조건인 집안, 외모, 재산과 
후천적 조건인 학력, 성격, 특기의
모든면에서 완벽해야 인정

올드머니룩의 유행
(아는 사람만 아는 브랜드, 고가의 소재, 단정/우아한 패션)

남자들의 루키즘(외모에 집착)

연예인과 브랜드에 완벽함을 요구

콘텐츠: 노력없이 완벽한 주인공 선호

수치화하기: 랭킹화, 돈으로 평가
예) 다이엘 맥의 '슈퍼카 주인에게 직업 묻기',
유튜브 '상팔자': 부자 체험 콘텐츠

육각형놀이
예) 핵인싸의 셀카 찍기: 카메라 플래시 받는 모습 연출,
유투브 '아침 양치하면서 자존감을 높이는 방법',
공주 드레스입고 졸업사진 찍기,
최애 캐릭터에 무한 긍정 말투 입히기

원인

'계층 사다리'의 약화가 담쌓기의 원인

SNS의 발달로 비교가 쉬워진것이 랭킹화의 원인

실제 자아와 이상적 자아 사이의 괴리에서 오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육각형 놀이를 즐김

전망/시사점

육각형인간 현상에 대한 반발
예) 친구들끼리만 포스팅 공유,
인생한컷이 아닌 포토덤프 올리기

나다운 것 찾기에서 행복 찾기 

리퀴드폴리탄
내 취향의 지역을 찾아 유목하는 사회

돌봄경제
누구나 서로 돌봐야 하는 사회

요즘남편, 없던아빠
가정과 육아에 적극적인 남자

현상

원인

전망/시사점

택티컬어바니즘(Tactical Urbanism)
작은 실험의 반복을 통해 발전시키는 도시 전략

시그니처스토어:
예) 경북 칠곡의 'ㅁㅁㅎㅅ' 수제 햄버거,
양양의 '서피비치',
광장시장의 '365일장',
제주 '아라리오뮤지엄'

지역기업가: 지역 콘텐츠 개발
예) 이창길 인천 개항로 프로젝트 대표,
김철우 부산 RTBT대표

도시기획자: 고객과 스토어를 연결
예) 도시문화 콘텐츠 플랫폼 '어반플레이'의 연남방앗간, 연남장
창신동에 MZ가 찾는 핫플레이스 음식점들을 배치한 '글로우서울'

커뮤니티: 주민과 외부인들의 소통 공간
예) 제주 탑동의 '리플로우'

저출산과 고령화

교통의 발달

노마드 라이프스타일 세대의 등장

지역이 가진 고유 문화자산에 주목

민관간의 협업 필요

현상

배려돌봄: 신체적 부족함을 돌봄

플랫폼 서비스 발전
예) 방문요양 매칭 '케어링',
시니어케어 스타트업 '케어닥',
아이돌봄 플랫폼 '맘시터'

케어테크의 발전
예) 삼성전자의 운동보조기 '봇핏',
올비트앤의 AI 보행보조기,
미국 케어엔젤의 AI 안부전화 서비스

정서돌봄: 마음을 돌봄
예) 대교의 시니어케어 '대교뉴이프',
노치원,
AI스피커 말동무,
외로움 달래주는 손주 로봇 '효돌이 효순이',
광주시의 은둔형외톨이를 위한 '방청소' 해주기,
돌봄드림의 안아주는 조끼 '허기'

관계돌봄: 서로 기대기
예) CU의 '아이CU': 부모 찾아 주기,
기업의 가족 돌봄 프로그램,
서울시의 '1인가구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 서비스'

전망/시사점

돌봐주는 가족 개념 확대:
혈연 가족에서 돌봐줄 수 있는 사람까지 가족으로 인정


돌봄은 경제생활을 원활하게 하는 사회 인프라와 같은 것

현상

경제력이 가장을 결정
예) 장윤정-도경완부부: 아내를 바깥양반을 부름,
김은희-장항준부부: 인기작가를 내조하는 남편

요즘남편의 경쟁력은 '눈치력'
아내와 처가에 잘해 패밀리지를 쌓아 하고 싶은일 할때 쓴다.

가정 친화적 남편은 이제 '당연한 것'

스마트폰과 AI등의 장비를 가사에 활용

6시 신데렐라:
아이를 돌보기 위해 정시 퇴근하는 아빠

사회관계의 축소와 게임의 포기와 같은 문제도 있음

전망/시사점

육아 대디를 위한 제품/서비스의 기획 필요
예) 미국 파더크래프트의 간지나는 '기저귀 가방', '유아용품 리뷰',
'육아 온라인 수업'

기업의 요즘남편, 없던아빠 지원
예) SK온: 상사 결재 없이 휴가,
유연근무제로 근무시간에도 가족에 시간 할애 가능,
의료비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