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Coggle requires JavaScript to display documents.
파편화 시대, 한국 사회의 윤리학 - Coggle Diagram
파편화 시대, 한국 사회의 윤리학
연구방법
월례 정기발표회
콜로키움
워크숍
학술대회
규범 윤리
■ [part I] 한국 사회의 윤리 가치를 담지한 윤리 이론
▪ [소주제 2] 공리주의와 한국 사회
▪ [소주제 3] 덕 윤리와 한국 사회
▪ [소주제 1] 칸트 의무론과 한국 사회
▪ [소주제 3] 덕 윤리와 한국 사회
▪ [소주제 5] 여성주의 윤리와 한국 사회
■ [part 2] 한국 사회의 규범 윤리 체계
▪ [소주제 6] 공시적 관점에 초점을 둔 한국 사회의 규범 윤리학
▪ [소주제 7] 통시적 관점에 초점을 둔 한국 사회의 규범 윤리학
■ [part 3] 한국 사회의 규범 윤리 이론들 사이의 조정 방법론
▪ [소주제 8] 사회 윤리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론
메타 윤리
■ [part I] 한국 사회에 내재한 윤리 가치
▪ [소주제 1] 헌법재판소 판결문과 언론에 노출된 윤리 용어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 [소주제 2] 한국 사회 구성원들의 윤리 가치에 대한 인식 분석
■ [part 2] 한국 사회의 윤리 가치의 내용과 의미
▪ [소주제 3] 전통적인 윤리 가치의 한국 사회적 재해석
▪ [소주제 4] 서구 윤리 가치의 한국 사회적 재해석
▪ [소주제 5] 한국 사회의 윤리 가치로서의 다원주의
■ [part 3] 한국 사회의 메타 윤리학을 위한 기초 논의
▪ [소주제 6] 파편화 시대의 한국 사회에 대한 윤리적 분석
▪ [소주제 7] 한국 사회의 인간관과 사회관
▪ [소주제 8] 한국의 윤리학의 위치와 다른 규범과의 관계
실천 윤리
■ [part I] 공시적 관점의 한국 사회 실천 윤리학
▪ [소주제 1] 차별과 재난 사회 극복의 실천 윤리
▪ [소주제 2] 경제적 불평등 해소의 실천 윤리
▪ [소주제 3] 의료 분배 정의를 위한 실천 윤리
▪ [소주제 4] 인공지능 과학기술과 실천 윤리
■ [part 2] 통시적 관점의 한국 사회 실천 윤리학
▪ [소주제 5]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환경 실천 윤리
▪ [소주제 6] 세대 간 정의를 위한 실천 윤리
■ [part 3] 한국 사회의 윤리 교육과 실천 방안
▪ [소주제 7] 한국의 윤리학이 현실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
▪ [소주제 8] 한국 사회 윤리의 교육
기대성과
한국 윤리학의 학문적 발전에 기여
후속 연구의 토대를 제공
한국 사회의 파편화를 해소하려는 실천 방안과 정책의 효과적인 이론적 토대의 역할
결과 활용 방안
인력양성에의 활용 방안
교육과의 연계 활동 방안
연구진 구성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원
연구 목표
한국 사회에 적합한 윤리학
기능적 역할
사회 규범으로서 외부 요인으로 인한 갈등을 조절하여 사회 구성원들의 지속적인 협력과 공존을 도모하는 것
본질적 역할
사회 구성원들의 자아 성찰을 통해 내면의 풍요와 자아실현을 도모하는 것
연구 필요성
파편화
통시적 관점의 파편화
공시적 관점의 파편화
가치의 파편화
존재의 파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