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Coggle requires JavaScript to display documents.
공리주의 (Utilitarianism) - Coggle Diagram
공리주의 (Utilitarianism)
제한된 공리주의
최소 수입을 보장하는 조건 하에서 평균 효용을 극대화하는 원칙
이 원칙 하에서는 최소 수입 수준에 있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이익이 더 부유한 사람들의 이익을 위해 희생되었다고 의심할 수 있음
이는 사회적 불신과 협력의 저해로 이어질 수 있음
모든 사람에게 보장된 최소 소득 수준을 조건으로 부와 소득의 분배가 평균 효용을 극대화해야 한다는 원칙
이는 모든 사람이 상호 이익을 위해 협력한다는 이상을 구현하는 정의의 두 원칙과 대조됨
평균 효용을 극대화하되, 모든 사람에게 특정한 최소 소득 수준을 보장하는 조건을 부가한 공리주의의 한 형태
평균 공리주의 (Average Utilitarianism)
사회 전체의 총 효용을 극대화하는 대신, 사회 구성원들의 평균 효용을 극대화해야 한다는 공리주의의 한 형태
사회 구성원의 평균적인 행복 수준이나 복지를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
사회 전체의 총량보다는 개인들의 평균적인 삶의 질 향상에 초점
전체의 크기보다는 개개인의 평균적인 삶의 질을 중요하게 생각
존 하사니 (John Harsanyi)
고전적 공리주의 (Classical Utilitarianism)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원리에 따라 사회를 조직해야 한다고 주장
사회 전체의 총합적인 행복이나 선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사회 제도를 설계하고 정책을 결정해야 한다는 의미
총합적인 행복의 극대화를 추구
행위의 옳고 그름을 그 행위가 초래하는 결과, 특히 행복이나 만족과 같은 효용의 총량에 따라 판단하는 윤리 이론
제러미 벤담과 존 스튜어트 밀에 의해 발전된 공리주의의 한 형태로,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도덕적 행위의 기준으로 삼음
비판
개인 간의 구별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함
개인의 선택 원리를 사회 전체에 적용하는 오류를 범함
개인들의 서로 다른 욕구와 이익을 단순히 합산하여 전체의 효용을 극대화하는 것은 각 개인의 고유성을 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