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Coggle requires JavaScript to display documents.
대상관계 - Coggle Diagram
대상관계
위니컷
이론적 배경
엄마와 아기는 단일체로 구성, 아기는 홀로 존재할 수 없으며 본질적으로 엄마와 함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유아의 신체적, 정서적인 성장은 충분히 좋은 엄마의 모성적 돌봄에게 전적으로 달려있다고 본다.
유아의 욕구와 몸짓에 반응해 주는 엄마로써, 유아의 배고픔, 기저귀 갈기 등 본능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며 거울 반응을 해 주는 엄마를 말한다. 유아의 자발적인 욕구와 몸짓을 거울처럼 그대로 느끼면서 표현해주고, 반응해 주는 대상이 되어야 한다.
유아의 고요한 시기에 유아에게 요구하거나 침범하지 않고 관심을 가지고 고요히 함께 있어주는 엄마로 유아가 '함께 있으면서 홀로 있는 경험'(=자아 관계성)을 통해 거짓이 아닌 진실한 자신의 삶을 발견하여 참 자기를 경험하는 것이고 궁극적으로 자기의 정체성과 연결되는 경험을 한다는 것이다.
-
-
-
발달
생의 시작 단계의 유아는 타고난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나 통합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때 유아는 자신을 환경과 분리된 존재임을 인식하지 못하며 엄마와 아기는 하나의 단일체로 융합된 상태로 아직 유아에게 자신의 경험이 존재하지 않는 단계이다.
-
-
-
-
-
그는 누구인가?
-
-
- 이후 소아과 의사가 되었고 정신분석사가 됨, 40년 가까이 6만명 이상의 환자를 진료 함
- 두 번의 결혼, 두 번째 부인 "클레어" 는 위니컷의 동료이자 열렬한 지지자였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