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Coggle requires JavaScript to display documents.
인쇄본 - Coggle Diagram
인쇄본
인쇄술
인쇄술 발명 요건
-
문화적 요소
정형화된 문자(한자), 기록 매체(종이), 염료의 발달
한자의 형태 변화 (대전 소전 예서, 초서, 행서, 해서) - 간략화 -> 읽기/쓰기 속도 향상
-
철판인쇄술
특징
석각의 탁인, 인장의 날인이 음각인데 반해, 철판인쇄술은 양각
-
인쇄술의 비중
한국
-
-
-
금속활자로 중앙에서 인쇄한 후 지방으로 보급함 -> 보급된 책을 이용해 목판인쇄 진행 : 번각본, 완성도 높은 책을 만들 수 있음
중국
-
지속적 대량수요에 적합 (한 번 만들면 계속 사용 가능, 저비용)
-
인쇄술의 영향
동양
정부가 인쇄출판을 적극적으로 주도 / 정부 통제하에서 유지, 발달
서양
도서의 대량 출판, 상업화 실용화 -> 문예부흥 / 종교계혁, 교육확산
-
종류
목판본
-
-
장단점
장점
제작이 완료되면 판목이 마멸될때까지 계속 인쇄 가능 (장경판전, 해인사 팔만대장경 보관)
-
판각방법
-
-
3) 바닷물/소금물에 담궈 삶음 (충해/수분 증발, 뒤틀림 방지)
-
-
6) 본문 새김 완료 후 판심, 간기와 각수의 이름 새김
성격
출판이라는 분명한 목적 (교정정확, 내용완결, 체제의 외양적 정제성)
-
-
시대성/사회성 : 판심, 서체, 판형이 시대의 변화를 반영
번각본
원본(저본, 판하본, 등재본)을 뜯어 한장씩 목판에 뒤집어 붙이고 그대로 다시 목판으로 새김
-
-
-
시대별 목판본
-
고려
-
초조대장경
-
-
대장경이란?
경 : 부처의 설법, 율 : 부처가 정한 교단의 규칙, 논 : 경과 율을 설명한 것
경, 율, 논을 모아 만들 것을 대장경이라 한다
교장
-
-
특징
-
속장, 속장경이라고도 불렀으나 교장이 올바른 표현임
-
해안사대장경
-
-
-
대장경목록
-
여러 대장경을 면밀히 대조해 본문의 착오를 바로잡고, 탈락과 부족을 보완함
-
-
-
조선
조선 목판본 특징
고려가 사찰을 통해 인쇄문화가 발달했다면, 조선은 중앙으로 부터 인쇄문화 발달이 이루어짐
-
관판본, 간경도감본, 사찰본, 국왕 및 왕실판본, 서원판본, 사가판본, 방각본 등이 있음
관판본
발행주체
중앙관서 : 교서관, 전교서, 주자소, 언문청, 책방, 간경도감 등
-
역사
세종 : 활기를 띠기 시작 (명나라 책 수입하여 간행) - 주자대전, 오경대전 등
임진왜란, 정묘호란, 병자호란을 인쇄활동 침체
-
-
사찰본
특징
숭유억불 정책으로 인해 위축되었으나, 민중의 시주에 의해 경전 간행은 지속됨
-
-
-
사가판본
-
특징
고려시대(불서, 문집류), 조선(시문집, 전기, 족보류)
-
방각본
-
특징
-
종류 (아동 학습용 교재, 과거시험용 사서삼경류, 일상생활에 필요한 의서, 소설류)
-
활자본
-
2) 도서 수요 증가
필요 책 부수는 적지만, 다양한 분야의 도서 필요
-
-
1) 목활자
-
[2] 목재 선정, 가공, 각목(목판?) 제작
-
-
-
정의
문자, 숫자, 기호등을 조각 또는 주조한 활자를 원고에 따라 조판한 다음 염료를 칠해 인출한 서적
제작시기, 제작기관, 자본의 제작자명에 따라 명명
-
-
1) 목활자
-
조선
-
출판업무 전담 : 예문춘추관, 성균관, 교서감(->교서관), 주자소
인본
(1) 개국원종공신녹권
-
특징
-
초기 목활자로, 글자크기, 글자배열이 일정치 않고 인쇄가 정교하지 않음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