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put-Output 모형
개방투입산출모형
산업별 생산규모(변화량): (델타)X_j^new
INPUT - OUTPUT 테이블
{(다산업)승수 행렬 = 레온티에프 역행렬} * 최종수요(변화량)
승수 행렬: 람다
최종 수요(변화량): F
투입산출계수 행렬: A
역행렬 구하는 방법
증명
파급효과 계산
(방정식1) 총공급 = 총수요 & (방정식2) 투입산출계수 정의
활용1
생산승수: O_j
소득승수: H_j
고용승수: E_j
활용2
폐쇄투입산출모형
차이
승수 행렬: 람다바
최종 수요(변화량): F바
C + I + G + E
투입산출계수 행렬: A바
G + I + E
고용투입산출계수: a_(n+1, j)
소비계수: a_(i,n+1)
활용
생산승수
소득승수
고용승수
j 노동소득 / j 총생산
i 소비수요 / 노동소득 합
행
총생산
최종수요
G
C
E
I
렬
수입(M)
중간수요
총생산
중간투입
부가가치
노동
자본
연립방정식
총공급 = 총수요
총생산 = 총투입
총산출 = 총투입
연립방정식 해
부가가치 = 최종수요 - 총수입
핵심산업 분석
후방연계효과(BLE) = 영향력계수: U
전방연계효과(FLE) = 감응도계수: V
V>1, U>1
U 우선
분산계수 작은 것
분산계수
분산계수
SUM_i(람다_ij)
SUMi(a(n+1,i)*람다_ij)
SUMi(z(n+1,i)*람다_ij)
람다바
람다바
람다바
고용인구 투입산출계수: z_(n+1,i)
j 1단위 변화 - 경기 전체
j 1단위 변화 - 가계 소득
j 1단위 변화 - 고용인구(e_j)
j 1단위 변화 - 고용 증가
j 1단위 변화 - 노동임금
노동소득 1단위 변화 - 소비수요
j 고용인구(e_j) / j 총생산
고용인구(e_j)
j 노동임금 / j 평균임금
가로(j)로
세로(i)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