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Coggle requires JavaScript to display documents.
중국어 (문자 (자형변천 (전서 (종류 (대전 (주나라 선왕(宣王) 때 태사(太史) 주(籒)가 옛 글자를 정리하였다고 해서…
중국어
문자
자형변천
전서
종류
대전
주나라 선왕(宣王) 때 태사(太史) 주(籒)가 옛 글자를 정리하였다고 해서 주문(籒文)이라고도 한다.
주문의 특징은 정방형(正方形)이다.
소전
주문을 진시황 때 이사(李斯) 등이 더 간략하게 만든 것이 소전인데, B.C. 340년 전후에서 한나라 초인 무제(武帝)까지 사용되었다. 특징은 주문보다 필획이 감소하고 필선이 균일하다. 고대문자는 소전까지를 말한다.
예서
진시황 때 감옥을 지키는 관리인 정막이 만들었다고 한다. 그는 죄수를 호송하던 중 죄수들이 달아나서 투옥되었는데, 수감된 동안 한자가 너무 복잡해 불편한 점을 해소하고자 간소화 작업을 거쳐 진시황에게 바쳤는데 이것이 예서이다. 진시황은 정막에게 어사(御史)의 벼슬을 내렸으며, 당시 신분이 낮은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였기에 깔보는 의미로 예서라고 했다. 진나라 말부터 한나라, 삼국시대에 사용되었으며, 획수 개념을 도입하여 필획을 줄이고 곡선, 원을 곧은 선과 네모꼴로 만들었다. 한예(漢隸), 팔분(八分)이라고도 부른다. 이전의 고문(古文)과 구분하여 금문(今文)이라고도 한다.
금문
은·주(殷·周) 때 청동기에 주조하거나 조각한 문자로, 종정문(鐘鼎文)이라고도 한다. '금'이란 청동이다. 제사, 전쟁, 명령, 계약 등에 관한 기록을 새긴 것이다. 5~6,000자가 수집되어 있다. 자획이 굵다가 차츰 가늘게 되었으며, 기호적 특성이 커졌다.
초서
해서보다 앞서 한나라 초에 사용되었다. 예서의 속기체라서 초예(草隸)라고 불렀으나, 뒤에는 장초(章草)라고 하였다. 한나라 말 이후에 복잡한 자형의 금초(今草)로 되었고, 당나라 이후에는 복잡한 형태의 광초(狂草)로 되었다. 현재 초서라고 하면 금초를 가리킨다. 章草는 한 글자씩 끊어서 썼고, 今草는 이어서 썼으며, 狂草는 쭉 흘려서 쓴 글씨다.
갑골문
은(殷)나라 후기의 유적지(하남성 안양현 小屯里)에서 발견된 거북 배딱지나 짐승 뼈에 새겨져 있는 글자를 말한다. 기원전 1300년으로 소급된다. 점의 결과를 기록하였으므로 '복사(卜辭)'라고도 한다. 상형의 특성이 강하고, 획과 부수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수집된 4,000여 자 가운데 1,000자만 해독되었다.
해서
'해(楷)'는 '본보기'라는 뜻이다. 한나라 말기에 글자의 획을 곧게 고쳐서 네모 형태로 만든 글자체이다. 진서(眞書)라고도 부른다. 오늘날의 한자는 해서체를 바탕으로 한다.
행서
해서와 초서의 중간 글자체로, 삼국시대와 진(晉)나라 이후 유행하였다. 해서체에 가까운 것을 행해(行楷), 초서체에 가까운 곳을 행초(行草)라고 부른다.
한어병음자모
설명
한자의 발음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베이징어 발음에 기초를 두고 있는 발음부호
역사
중국에서는 1913년 한자를 기초로 한 국음(国音) 자모가 제정되면서 문자개혁이 개시되었고, 1920, 1930년대에 중국어에 맞는 라틴 문자를 고안하여 장려하기 위한 여러 차례 시도가 있었지만 뚜렷한 성과는 없었으며, 1949년 공산당이 집권한 뒤 전면적인 문자개혁 작업이 시작되었고, 1956년 한어병음방안을 문자개혁위원회에서 채택해 사용하게 되었으며 1958년 1차례 수정이 가해졌다
종류
운모
yi(~i), wu(~u), yu(~ü, ~u), a, o, e, ai, ei, ao, ou, an, en, ang, eng, er 등 16개
운모의 특질
기음(氣音)의 자음(p, t, c, ch, k)과 기음이 없는 자음(b, d, z, zh, g)이 분명하고도 한결같은 방법으로 구별된다는 것과 겹글자(zh, ch, sh)를 사용해 권설 자음을 나타내고 있다.
성모
b, p, m, f, d, t, n, l, g, k, h, j, q, x, zh, ch, sh, r, z, c, s 등 21개
간체자
설명
중국에서 본래의 복잡한 한자 점획을 간단하게 변형시켜 만들어 냈다고 하여 간체자(簡體字)라고 부른다
역사
1946년에 한자의 자획을 간략화하기 시작하여 1956년에 한자 간화 방안이 정식 공포되었다. 현재 쓰고 있는 간체자는 중국 문자 개혁 위원회가 1964년에 공포한 인쇄 통용 한자 자형 표(印刷通用漢字字形表)에 의거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체는 본래의 정자체를 간략화하여 정자체형으로 만들거나, 초서체로 간략화하여 정자체에 가미하여 글꼴을 꾸몄다고 하여 간자체(簡字體)라고도 한다
번체자
설명
정체자 또는 번체자 혹은 구자체는 전통적으로 써 오던 방식 그대로의 한자 글자를 부르는 말이다. 전통 한자라고도 한다. 중화인민공화국만을 제외 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민국, 홍콩, 마카오, 싱가포르 및 미국과 캐나다 등 해외의 화교 커뮤니티들은 전통적인 한자인 정체자를 고수하고 있다.
명칭논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및 중화민국, 홍콩, 마카오 등을 포함한 전통 한자를 선호하는 지역들은 전통 한자가 의미와 형식 모두에서 정통성이 있다는 의미에서 ‘정체자’(正體字)라고 부르고 있는 반면에, 간략 한자를 선호하고 있는 중국 대륙에서만 전통 한자가 너무 복잡하며, 이제는 간략 한자로 모두 대체되었다는 의미에서 ‘번체자’로 지칭한다. 한편 일본에서는 전후에 새로 제정된 '신자체'에 대비되는 명칭으로 '구자체'라고 부른다.
한중일 한자비교
자형
한국: 강희자전에 따른 정체자 위주,속자로서 약자가 일부 쓰임
일본: 신자체
중국: 간체자, 부분적으로 번체자
한자음
한국: 한국 한자음은 한국어에서의 한자 소리를 이른다. 한국 한자음은 중국어의 한자 소리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하나의 한자에 한 가지 소리가 주어지는 것이 원칙이다
일본: 한자 소리가 전래된 시대에 따라 오음(吳音), 한음(漢音), 당음(唐音)의 세 가지가 있다는 점에서 한국과 양상이 다르다
통사
품사
감탄사
설명
감탄사는 응답,부름, 감탄사들을 나타내는데, 다른 단어와 결합되지 않고 단독으로 문장을 이룬다.
양사
수량사
동량사
설명:
수사는 수를 나타내는 사를 말한다. 사물의 수량 단위를 나타내는 수량사와 동작의 수량 단위를 나타내는 동량사가 있다.
수사
설명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사를 말한다.
조사
구조 조사
동태 조사
어기 조사
설명
조사는 돕는 기능을 하는 사를 말한다. 즉 사나 사조에 붙어서 해당 사나 사조의 용법이나 기능이 분명하게 드러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접속사
설명
접속사는 단어와 단어, 구와 구, 절과 절,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는 사를 말한다.
부사
설명
부사는 부수적인 기능을 하는 사를 말한다. 즉 부사는 구자에서 주요성분이 되지 못하고 부가성분의 역할을 하여, 주로 동사, 형용사, 부사 등을 수식하거나 때로는 구자 전체를 수식한다
대사
인칭 대사
지시 대사
의문 대사
설명
대사는 다른 것을 대신하거나 혹은 대체 지시하는 사를 말하며, 이중에서 사람이나 사물을 대신하는 대사를 인칭대사(人称代词), 사람이나 사물을 대체하여 지시하는 대사를 지시대사(指示代词), 의문을 나타내는 대사를 의문대사(疑问代词)라 한다.
명사
일반 명사
고유 명사
시간 명사
방위사
설명
사람이나 사물의 명칭을 나타내는 사를 말하며, 시간이나 방위를 나타내는 사도 포함한다.
동사
일반동사
위의 두 예문에서 ‘笑’는 각각 동사와 명사로 쓰였다. 영어에서는 동사와 명사의 형태가 다르지만, 중국어 문장에서 ‘笑’가 어느 위치에 있든지, 어떤 품사로 쓰이든지 형태 변화가 없다.
영어에서는 인칭, 단수 복수에 따라 그리고 시제에 따라 명사와 동사가 변하지만 중국어는 이에 대해 매우 자유롭다. 즉 형태 변화가 거의 없다.
[네이버 지식백과] 중국어의 기본 문법 (세계 언어백과, 김진아, 김은정)
조동사
판단 동사
추향동사
설명
동사는 대체로 움직임을 나타내는 사를 말하며, 동작이나 행위를 나타내는 사는 물론 심리상태나 판단을 나타내는 사도 포함한다.
형용사
설명
형용사는 대상을 형용하는 사를 말한다. '형용'이라는 것이 대상의 성질이나 상태가 어떠어떠함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할 때, 형용사는 그 대상인 사람이나 사물을 형용하거나, 동작이나 행위를 형용한다.
개사(전치사)
설명
개사는 성분들 사이에 끼어서 기능을 하는 사를 말한다.
의성사
설명
사물이나 사람, 동물, 자연 등의 소리를 흉내 내어 표현하는 사를 말한다.
문장성분
목적어
동작의 대상이 되는 말
한정어
명사나 대명사의 범위를 한정하는 말
술어
주어가 하는 동작, 행동을 나타내는 말
상황어
술어 또는 문장 앞에서 동작 혹은 문장의 전체의 상황을 설명하는 말
주어
동작이나 행동을 하는 사람이나 사물로 '누가,무엇이'에 해당하는 말
보어
술어 뒤에서 술어를 보충하는 말
분석단위
고정어구
설명
어구의 사용방법에 따라 고정어구와 운용어구로 나눌 때 그 구조상으로 설치위치를 옮기기 힘든 어구. 단어와 어구의 특성을 다 가지고 있다.
예
사자성어, 속담, 관용어
어구
말의 마디나 구절
단어
설명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문법 단위
종류
단순어
합성어
문장
설명
비교적 완전한 의미를 나타내는 문법 단위
구조
단문
복문
기능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
형태소
설명
가장 작은 문법 단위. 더 이상 나눌 수 없다.
종류(음절 수에 따라)
단음절 형태소
복음절형태소
특수문장
설명
중국어에서만 볼 수 있는 중국어 특수문형이 있다.
문형의 종류
秉语文(겸어문)
한 문장에서 첫 번째 동사의 목적어가 다시 뒤에 오는 동사의 주어가 되는 문장을 겸어문이라 한다.
连动文(연동문)
동작이 행해지는 순서에 따라 2개 이상의 동사가 이어져 술어가 되는 문장이다.
有자문
동사[有]를 술어로 하는 문장을 유자문이라고 한다. 소유나 존재를 나타낸다.
把자문
문장 안의 목적어를개사[把] 바로 뒤에 두어 강조
是자문
동사[是]가 술어의 주요 성분이 되는 문형이다.
比자문(비교문)
A比B~ 비교하는 내용을 比자앞뒤에 놓여 비교하는 문형이다.
被자문(피동문)
존현문(着)
사람이나 사물의 존재나 출현. 또는 소실 등을 나타내는 문장이다.
방언
중국의 7대 방언
북방방언
중국 북경을 기준으로 사용인구가 70퍼센트 이상을 넘으며, 중국 북방지역의 각 성과 귀주,사천,운남 및 화중 지역의 일부 시와 현에 서 사용된다. 분포지역이 가장 넓다.
월방언
중국의 남부 지역인 광주 지역의 언어를 표준어로 일명 광동어, 영어로는 캔토니즈라고 한다. 사용인구는 한족 가운데서 약 5퍼센트이고 7개 방언 중 언어 현상이 매우 복잡하고 고대 음운과 고대 어휘를 가장 많이 보존하고 있는 방언 중 하나이며, 중국 최초의 '보통화'이기도 하다.
오방언
중국 상해 아래에 있는 소주 지역의 언어를 표준어로 하는 방언으로 지금은 상해방언이 오어의 대표적 언어이기도 하다.
민방언
민어는 천주 혹은 장주 지역의 방언을 표준어로 한다. 이는 복건성 지역의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방언으로 민어에는 지역에 따라 민동어와 민남어로 나누어진다. 대만에서 사용하는 대만어를 민남어라고 한다.
객가방언
객가어는 토속 광동어라고도 한다. 영문으로는 Hakka라고 알려져 있다.객가족은 중원, 즉 하남, 안휘, 복건, 광서, 호남, 사천 등 광동성 동부와 북부, 복건성 서부, 광서성 남부와 광동성 동남부에 분포되어있다. 사용인구가 늘어감에 따라 전국 각지로 퍼져 나갔으며, 지금은 동남아, 미주 등 세계 각지로 뻗어나갔다.
상방언
상어는 장사어를 표준으로 삼는다. 중국 호남성 대부분 지역에서 이 방언이 사용되고 있고, 중국 인구의 5퍼센트 즉 4,600만 정도가 상방언을 사용한다.
공방언, 공어
공어는 강서어라고도 한다. 강서성 대부분 지역과 복건성 서부에서 쓰이며, 사용인구는 5,148만 명 정도로 중국인구의 약 5퍼센트를 차지한다. 특히 남창 지역에서 쓰는 말이 대표적이다.
중국어의 방언 표기 문제
설명
중국어 표기상 여러 방언들을 문자로 옮길 떄 발생하는 문제를 말한다. 중국어는 표준어인 보통화를 제외하면, 여러 방어들의 글말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이들 방언을 글로 적을 떄, 여러가지 표기법이 복수 공존 하고 있다.
중국어의 여러 방언 표기 방식
가차법
방언음에 가까운 표준어 한자를 의미에 상관없이 음만 따다 쓰는 방식
신조 방언자 사용
방언음과 뜻을 나타내는 새로운 한자를 만듦
훈독법
표준어의 글자를 그 의미에 상응하는 방언음(표준어음과 같지 않은)또는 방언의 뜻으로 사용하는 방법
백화자
모든 음을 로마자로 옮기는 방법
한라 혼용법
한자를 주체로 하고 방언음을 나타내는 글자가 없을 경우는 로마자를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방식
중국어 방언 설명
중국어는 단일의 언어라기보다는 방언연속체로 이루어진 제어이며, 학자에 따라 다르나 방언은 크게 10개 내외의 범주로 나뉜다.
학습참고자료
학습앱
플랫폼
유튜브
시리 티비
진짜 중국어 real chinese
쓰이는 중국어만 알고 싶다
천지인 중국어
모바일 앱
회화
시리 티비
무료 중국어 회화
헬로톡
HSK 대비
저절로 암기 중국어
켜자마자 중국어
HSK online 중국어 수준 시험 필수
문법
chinese Grammar
중국어는 뻔한 패턴의 반복이다
번역기
플리토
단: 집단 지성 시스템을 이용하기 떄문에 시간이 어느정도 걸린다.
장:비교적 정확하다. 원하는 번역으로 고를 수 있다.
파파고
장: 바로 번역을 알아볼 수 있다. 비교적 내용 파악이 빨리 된다.
단: 다 번역되지 않을 떄가 있고, 완벽하게 번역이 되지 않을 떄가 있다.
구글번역기
단: 의역과 직역을 번갈아 가면서 해 문단의 통일성을 해친다
장: 직역보다 의역이 많아서 문장이 자연스러워 보인다.
사전
종이사전
중한사전
중국어 단어를 한국어로 뜻을 풀어 놓은 사전
진명 중한사전
진명중한사전
프라임 중한사전
현대 중한사전
엣센스 중한사전
중한사전
교학사 중한사전
한중사전
한국어 단어를 중국어로 뜻을 풀어 놓은 사전
한중사전
진명 한중사전
엣센스 한중사전
뉴밀레니엄 한중사전
인터넷사전
다음 어학 사전
네이버 사전과 마찬가지로 직접 쓰거나 음성으로 입력하는 방식으로 중국어를 검색하여 공부할 수 있다
위키백과
중국어를 다방면으로 검색하고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네이버 사전
네이버 한자사전
한자를 직접 쓰거나 음성으로 입력하여 찾을 수 있다.
네이버 중국어 사전
중국어를 직접 쓰거나 발음해서 찾아볼 수 있다.
네이버 백과사전
중국어에 대한 우리말 표기 등의 사항을 찾아 볼 수가 있다
음운
음절
모음(운모)
음절에서 성모를 뺸 나머지를 운모라고한다.
종류: a,o,e,-i,er,ai,di,ao,ou,an,en,ang,eng,ong,i,ia,iao,ie,iou,ian,in,iang,ing,iong,u,ua,uo,uai,uei,uan,uen,uang,ueng,ü,üe,üan,ün
성조
설명
음의 높이 변화를 표시한 것
유의할 점
하나의 음절이 두 개 혹은 두 개 이상의 모음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성조 부호를 입을 가장 크게 벌려 발음하는 모음 위에 표시한다. 즉, 모음이 두 개 이상일 때 우선적으로 성조가 붙는 순서는 a>e, o>i,.u,ü이다.
성조 부호는 주요 모음(a,o,e,i,u,ü) 위에 표시한다. 모음 i위에 성조 부호를 표시할 떄는 위의 작은 점을 없애고 성조를 표시한다.
종류
2성: 중간 음에서 위로 짧게 올라간다.
3성: 중간 아래 음에서 가장 낮은 음을 내다가 위로 살짝 올라간다.
1성: 높은 음에서 평탄하게 흐른다.
4성: 가장 높은 음에서 강하게 내려온다.
자음(성모)
음절 첫머리에 오는 자음을 중국어의 음절에서 성모라고 한다.
종류: b,p,m,f,d,t,n,l,g,k,h,j,q,x,zh,ch,sh,r,z,c,s
+) 현대한어 '보통화(표준 중국어)에는 400여개의 음절이 있다.
우리말 표기
외래어 표기법
설명
외래어 표기법(한국 한자: 外來語表記法, 문화어: 외국말적기법)은 대한민국의 국립국어원이 정한, 다른 언어에서 빌려온 어휘(외래어)를 한글로 표기하는 규정이다. 1986년에 제정·고시된 원칙을 현재까지 큰 변동 없이 따르고 있다.
대한민국 ‘외래어 표기법’의 경우 한국어 이외의 다른 언어에 있는 음운을 표준어에 있는 비슷한 음운과 대응시켜 한글로 표기하는 방식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외래어 표기법]의 표기 일람표와 표기 세칙 중 중국어에 대한 언급
중국어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자음과 모음의 구분이 아니고 성모와 운모라고 하는 특이한 음운체계를 가지고 있다. 성모는 일반적인 자음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운모는 단운과 복운, 부성운, 권설운 등 단독으로 발음되는 운모와 이들과 함께 종성, 즉 우리말의 받침이 결합된 결합운모 등으로 다양하게 나뉜다. 또 표기 문자도 주로 대만에서 많이 사용하는 주음부호(注音符號)와 중국 대륙에서 사용하는 병음자모(拼音字母)를 모두 보여 주고 있다.
그런데 표기 세칙은 의외로 간단하다. 중국어의 표기 세칙은 단 두 가지 조항만 있다. 그 첫째는 “성조는 구별해 적지 아니한다”는 것이다. 이는 한글에는 성조를 구별할 수 있는 문자가 없고 실제로 우리 국민들은 중국어의 성조를 정확히 구별해 내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중국인과의 대화가 아닌 한국인과의 대화 상황에서는 성조에 의한 의미 구별이 크게 의미가 없다는 언어적 현실을 인정한 것이다. 둘째는 “‘ㅈ, ㅉ, ㅊ’으로 표기되는 자음(ㄓ, ㄗ, ㄐ, ㄑ, ㄔ, ㄘ) 뒤의 ‘ㅑ, ㅖ, ㅛ, ㅠ’의 음은 ‘ㅏ, ㅔ, ㅗ, ㅜ’로 적는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것도 비록 원지음에서는 이중모음으로 발음되나 국어 음운체계에서는 치음 뒤의 이중모음은 단모음으로 발음된다는 현실을 인정한 결과다.
표기 원칙 중 중국어에 대한 언급
방언
중국어는 표준어인 보통화를 제외하면, 여러 방어들의 글말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이들 방언을 글로 적을 떄, 여러가지 표기법이 복수 공존 하고 있다. +)왼쪽 '중국어의 방언 표기 문제'참고
인명,지명
제 2절: 동양인의 인명,지명 표기
제1항: 중국 인명은 과거인과 현대인으로 구분하여 과거인은 종전의 한자음대로 표기하고, 현대인은 원칙적으로 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과거인과 현대인은 신해혁명을 기점으로 출생일에 따라 나눈다.
제2항: 중국의 역사 지명으로서 현재 쓰이지 않는 것은 우리 한자음대로 하고, 현재 지명과 동일한 것은 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제4항: 중국 및 일본의 지명 가운데 한국 한자음으로 읽는 관용이 있는 것은 이를 허용한다.
제3절: 바다, 섬, 강 산 등의 표기 세칙
제4항: 한자 사용 지역(일본, 중국)의 지명이 하나의 한자로 되어 있을 경우, '강', '산', '호', '섬' 등은 겹쳐 적는다
중국어의 외래어 표기법의 문제점
음운에서의 문제
중국어 한글 표기 논쟁: 표준중국어 독음 대 한국 한자음
중국 밖에 거주하는 화교들의 중국식 인명 처리 문제
방언 문제
어휘
외래어
중국의 외래어 수용의 역사
① 선진(先秦)·양한(兩漢) 때 중앙아시아의 제 언어에서 유입된 외래어.
②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때 범어(梵語)에서 유입된 외래어.
③ 당(唐)·송(宋)·원(元) 때 돌궐어(突厥語)·몽고어(蒙古語)에서 유입된 외래어.
④ 무술정변(戊戌政變, 1898)에서 신해혁명(辛亥革命, 1911) 사이 일본어(日本語)에서 유입된 외래어.
⑤ 5·4 운동(1919) 이후 영어(英語)에서 유입된 외래어.
⑥ 1949년 신중국성립 이후 러시아어에서 유입된 외래어.
⑦ 기타 남방방언과 중국내 소수민족언어에서 유입된 외래어.
중국어가 외래어를 수용하는 양상
① 음역 중심시기→② 음역·의역 병행시기→③ 의역 중심시기
여타 언어에서 보이는 외래어는 모두 음역중심이기 때문에 이러한 독특한 수용방식은 다른 언어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희귀한 현상
중국어 음역외래어의 유형별 특징
음역외래어에 속하는 어휘의 도태현상이 나타남과 동시에, 음역에 의역이 가미된 외래어의 생명력은 더욱 공고해지고 있다
중국어 방언에서 흡수한 음역외래어도 자주 보인다
음역외래어에 속하는 어휘의 대부분은 현대생활과 밀접한 일상용어와 외래상표이다
중국어의 의역 선호 양상
외래어 수용과정에서 중국어는 의역을 특히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왜 그럴까? 그것은 아마 한자의 표의문자적 특성 때문일 것이다. 한자는 음성을 표기함과 동시에 의미도 전달한다. 대부분의 언어에 있어서 언어요소의 결합은 음성 규칙에 준하여 진행되는 반면, 중국어는 표의적 규칙에 의하여 어휘를 구성한다. 그러므로 중국어의 의역방식은 언어현상일 뿐 아니라 중국인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사유방식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의역을 일종의 문화현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중국어는 의역을 통하여 외래어휘를 중국어 자신의 어휘로 완전히 변형시켜 소화해내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의역을 일종의 문화적 동화(cultural assimilation)현상으로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