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enable JavaScript.
Coggle requires JavaScript to display documents.
교수 매체와 교육 평가 _ 컴퓨터교육과 20165111 임채원 (교수 매체 (교수 매체의 유형 (시청각 매체 (비디오, 슬라이드,…
교수 매체와 교육 평가 _ 컴퓨터교육과 20165111 임채원
교육 평가
잘 이해한 내용
정의
가치 판단론
교육을 통해 추구하려고 하는 가치 혹은 목표가 달성 된 정도를 확인, 판단하는 과정
정보 처리론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하는 과정
교육 평가의 역할은?
형성적 역할
개발, 수정 보안, 대안 탐색을 위한
총괄적 역할
선발, 자격 인정, 책무 확인을 위한
ex) 형성 평가, 수능, (반)배치 고사
진단적 역할
준비 상태를 사전에 파악하기 위한
의사 결정 보조 역할
의사 결정자에게 필요하고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ex) 학교 교과서 결정
정보 교육 평가의 유형은?
학습 평가
컴퓨터 관련 내용에 대한 학습 과정 및 결과 평가
학습 평가의 방법
지필검사
선택형
진위형
진술문 제시 후 진위, 정오 등을 판단하게 하는 문항
2 more items...
배합형
일련의 전제와 답지를 배열하여 정답을 연결하는 문항
2 more items...
선다형
두 개 이상의 답지 중 답을 선택하는 형태
2 more items...
서답형
단답형
복합적 인지 발달에 제한 있음
1 more item...
서술형
우리가 알고 있는 지식을 직접 써서 답하는 문제
2 more items...
논술형
학생 나름의 생각이나 주장을 논리적으로 설득력 있게 기술 주로 서론, 본론, 결론 등으로 구성
2 more items...
수행평가
관찰
포트폴리오
체크리스트
평가 루브릭
조건에 따라 점수 배점을 달리함
프로그램 평가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교육 자료 및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수업 평가
컴퓨터 교과 수업 평가
교육 평가의 절차
● ①평가 계획 수립
● ②평가 목표 진술
● ③평가 설계 선정
● ④평가 도구 제작
● ⑤평가 자료 수집
● ⑥평가 구별과 분석
● ⑦평가결과보고
● ⑧평과결과활용
이해하지 못한 내용
교육평가의 역할 중 의사 결정 보조 역할에 대해 확실하게 알고 싶다
의사 결정을 하는데 자신의 생각이 필요하고 자신의 의지대로 하면 되는 것일텐데 평가를 하면서 이것이 필요할까?
이것이 있는 이유는 평가를 하는 사람들 간 타당성 즉, 평가자의 주관을 배제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인가?
추가 문항
내가 잘 이해하기 위해 노력한 것은 무엇인가
첫 째, 수업 시간에 정리한 내용을 꼼꼼히 살폈다.
둘 째, 이해하지 못한 부분은 책과 인터넷을 통해 찾을 수 있었고 그래도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은 친구들과 토의를 하며 답을 찾을 수 있었다.
이 과목을 선택한 이유가 무엇이며 현재 공부하는 내용과 연결되는가
솔직히 처음에는 이 학과의 필수 과목이기 때문에 들었다. 하지만 수업을 듣고 이번 과제인 미래교육과정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내가 후에 어떠한 방법으로 아이들을 가르치고 어떠한 교수 매체와 교육 평가를 통해 아이들을 평가하는지를 잘 알아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후에 이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
교육 평가는 교사에게 있어서 꼭 필요한 소양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학생들을 평가하는 것에 대해 전적으로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아이들의 등급을 매기고 차별을 하는 것이 아니라면 학생이 어떠한 방향으로 공부를 하고 있는지 나의 수업을 잘 따라오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선 평가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평가에 대한 인식이 나의 등수를 매기는구나란 생각이 아닌 내가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구나라는 생각이 들도록 해주고 싶다.
그러기 위해선 지금의 평가 방법의 옳은 점은 수용하고 잘못된 점은 비판하며 나만의 수업 평가 방식을 찾도록 노력해야겠다.
교수 매체
정의
media, 2개의 개체 사이에 매개하는 것
가르치는 사람도 매체의 역할을 함
교수 매체의 유형
인쇄 매체
간이 매체 ( 칠판, 화이트보드, 괘도, 융판 및 자석판 자료 )
투시물 자료
슬라이드, 필름스트립
시청각 매체
비디오
슬라이드
영화
컴퓨터 및 멀티미디어
인터넷 과 웹
교육에 적용 가능한 매체는?
향후 1년 이내
BYOD
Makerspaces
기술 매니아들이 전자 하드웨어나 공작 도구, 프로그래밍 기술과 기법들을 공유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모임을 가지는 커뮤니티 지향 워크숍
2 - 3 년 이내
3D printing
그동안 학교에 적용하기 어려웠던 학습 목적들과 개념들에 대한 좀 더 실제 적인 탐색을 가능하게 함
예시
수학
그래프와 수학적 모형의 시각화
지리
3D프린팅이 학생들의 지질학적 구성에 대한 이해 지원
문학
개념 탐구
역사
고대 유물의 복제품을 가지고 직접 체험하는 학습 가능
Adaptive Learning Technologies (적응형 학습 기술)
개별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학습 자료 제공, 대규모 사용자의 의견을 기반으로 한 교육 과정 설계.
4 - 5 년 이내
Digital Badges (디지털 배지)
학생들의 학습 결과를 평가하고 그 결과에 대하여 디지털 배지를 제공하는 기능
예시
학습 과정의 추적
학습 과정의 포착
시각화 가능
Wearable technology (웨어러블 기술)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액세서리를 의류처럼 사용자가 실제 착용하는 것
예시
Google glass
Smart watch
교수매체의 선정 방법은?
적절성, 신뢰성, 흥미, 조직성과 균형성, 기술적인 질 및 비용